카테고리 없음

2025년 신조어?줄임말!을 알아야 소통한다.

정보전달이 2025. 2. 2. 22:08
반응형

1. 요즘 애들 MZ세대? 아니 이제는 "A세대"다!!

신조어는 시대의 트렌드를 반영하는 거울입니다.

2025년, 새로운 세대의 등장이 예고된 가운데 그들의 언어도 점점 변화하고 있습니다.

과연 올해 어떤 신조어와 줄임말이 있을까요?

2025년 신조어,줄임말 지금부터 하나하나 알아보도록 해요!

 

잠깐!!여기서 A세대란?

A세대(Alpha 세대)는 2010년대 중반 이후 태어나 2025년 이후 사회에 본격적으로 등장할 새로운 세대를 의미합니다.   AI(인공지능)와 디지털 기술과 함께 성장한 최초의 세대로, 기존의 Z세대보다 더욱 기술 친화적이고 데이터 기반 사고방식을 가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메타버스, AI 챗봇 등의 기술을 일상적으로 활용하며, 기존의 교육 및 직업관과는 전혀 다른 가치관을 형성할 가능성이 커요. 새로운 소비 패턴과 문화, 그리고 그에 따른 신조어들이 빠르게 등장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죠!

 

 

2024.07.02 - [분류 전체보기] - 요즘유행하는 신조어와 유행어 나의 인싸지수

 

신조어줄임말A세대

2. 2025년 신조어 & 줄임말 BEST 10

 

1) 갓생력 (God + 생명력)

"야, 너 요즘 갓생력 미쳤다! 어떻게 그 많은 일을 다 해?"

기존에 "갓생"이라는 단어가 성실하고 부지런한 삶을 뜻했죠.

여기에 '생명력'이 더해지면서 불사조처럼 끝없는 열정과 체력을 자랑하는 사람을 뜻하는 말로 진화했어요.

2) 응삼해 (응, 3초 생각해 볼게)

"이거 어때?"
"응삼해. (아니라는 뜻)"

뭔가 제안받았을 때, 고민하는 척 3초만 생각해 보고 바로 거절할 때 쓰는 표현이에요.

굳이 길게 설명할 필요 없이 "응삼해" 한 마디면 끝!

3) 만반잘부 (만나서 반가워, 잘 부탁해)

"처음 뵙겠습니다! 만반잘부!"

SNS나 메신저에서 새로운 사람을 만날 때, 길게 인사하기 귀찮을 때 딱 좋은 말이죠. 짧고 간결하면서도 정중한 느낌까지 잡을 수 있어요.

4) 억까충 (억지로 까는 사람)

"야, 그건 좀 억까충 아니냐?"

타당한 이유 없이 무조건 싫어하고 비판하는 사람을 지칭하는 말이에요. 예를 들어, 인기 있는 아이돌을 이유 없이 싫어하는 사람을 억까충이라고 부를 수 있어요.

5) 인만추 (인위적인 만남 추구)

"난 인만추 스타일이라서 소개팅보다는 즉흥적인 만남이 좋아."

"자만추(자연스러운 만남 추구)"의 반대 개념이에요. 일부러 노력해서 사람을 만나려는 스타일을 뜻하죠. 소개팅, 미팅, 앱 등으로 인연을 찾는 사람이라면 인만추 타입!

6) 뇌절플렉스 (과한 자랑질)

"야, 너 뇌절플렉스 좀 그만해라!"

FLEX(과시)와 뇌절(한도를 넘는 반복)을 합친 말이에요. 자랑도 적당히 해야 귀엽지, 너무 심하면 뇌절플렉스라고 불립니다.

7) 손절력 (관계 끊는 능력)

"난 손절력 최강이라, 내 기준에서 아닌 사람은 바로 정리해."

사람을 가차 없이 정리하는 능력을 의미해요. 요즘 세대는 감정 소비를 최소화하고, 자신에게 필요 없는 인간관계는 정리하는 데 주저하지 않죠.

8) 톡디 (톡 프로필 디테일 분석)

"톡디 좀 보니까, 저 사람 성격 딱 나오네."

카카오톡 프로필 사진, 상태 메시지, 배경화면 등을 보고 상대의 성향을 분석하는 행위를 뜻해요. 생각보다 은근히 잘 맞는다고 하네요!

9) 복세편살 (복잡한 세상 편하게 살자)

"아, 복세편살이 최고야! 스트레스 받을 필요 없어."

지친 현대인을 위한 응원 같은 말이에요. 무조건 열심히 사는 것보다 가끔은 편하게 사는 게 좋다는 의미로 사용되죠.

10) 튀약질 (튀기려고 약간 오버하는 짓)

"야, 너 너무 튀약질 아니냐? 평소랑 다르게 왜 그래?"

특히 SNS에서 자신을 더 돋보이게 하려고 일부러 튀는 행동을 할 때 쓰는 말이에요. 과하면 오히려 역효과!

청소년신조어줄임말

 

3. 마무리하며…

오늘도 새로운 신조어가 태어나고, 또 사라지는 중! 우리가 사용하는 말은 그 시대를 반영하는 중요한 문화 요소입니다.

신조어가 단순한 유행어로 끝나는 게 아니라, 사회의 흐름을 반영하는 창구라는 점에서 더욱 흥미롭죠.

2025년의 트렌드도 신조어와 줄임말을 알아야 가능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혹시 이 글을 읽고 "내가 아는 단어는 없는데?"라고 생각하셨다면, 이제부터라도 트렌드를 따라가 볼까요? 다음에 또 재미있는 신조어가 생기면 빠르게 알려드릴게요!

마지막으로, 여러분의 최애 신조어는 무엇인가요? 댓글로 남겨주시면 더 재미있는 이야기 나눠볼 수 있을 것 같아요! 😊

https://yrmomm.tistory.com/entry/2024%EB%85%84-%EC%9A%94%EC%A6%98-%EC%9C%A0%ED%96%89%ED%95%98%EB%8A%94-%EC%8B%A0%EC%A1%B0%EC%96%B4-%EC%A4%84%EC%9E%84%EB%A7%90

 

 

 

 

 

반응형